[학술논문] 김소월ㆍ인민의 애수ㆍ애국주의
...1948년~2010년까지 북한에서 진행된
김
소월의 시의 가치화 과정을 검토한다. 먼저 북한 문단과
인민에게 지속적으로 안내된 소월 시를 살펴본다. 다음으로 북한정권의 이념과 정책에 따라 추가된 소월 시가 무엇인지도 검토한다. 북한문단은 소월 시에서 향토애와
애국주의, 나라를 빼앗기고 님을 잃은 상실감과
애수의 정서를 집중적으로 찾아냈다. 그러나
김일성 정권의 독재화에 따라
김
소월의 시는 ‘진보적 사실주의’에서 ‘
주체문학’을 위한 도구적 역할로 급속하게 주변화되어 갔다. 그 결과 소월 시는
김일성 업적 중심의 ‘혁명적문학예술전통’ 아래 배치된 ‘민족문학예술유산’으로 그 역할과 가치를 조정받게 되었다. 이는
김
소월의 시가 ‘시대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