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역사교육과 문학교육의 내적 상관성
..., 문학교육학계가 점유하고 있는 분야는 근현대사 부분인 『혁명력사』교과목이다. 남한 『한국사』의 『근현대사』에 해당되는 내용이 바로 실질적으로는 『혁명력사』가 된다. 즉 3.1운동 이후의 근대
역사는
김일성
가문의
역사로만 운용되고 있는 것이다. 이 『혁명력사』는 세 개의 교과서로 이루어진다. 잠정적으로 칭한다면,
김일성 『혁명력사』교과서, 김정일 『혁명력사』교과서, 김정숙 『혁명력사』교과서라 말할 수 있다. 남한의 경우와 특히 다르게 차별화되는 내러티브 서술이 더욱 두드러지는 것이 북한의 근현대사교육, 즉 『혁명력사』교과목이다. 소학교 근현대사교육에서는 문학교육의 강력한 자장(磁場) 내에서 허구적 서사교육이 시행되고 있었다. 결국, 북한의 근현대사는 실질적으로“허구적 사실들(소학교)⟹허구적 사실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