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근대식민주의에 대응한 생활문화-초상사진-
이 글은 최근까지 대청마루나 안방, 거실, 그리고 각종 관공서와 회사의 회의실, 응접실 등에 걸리던 초상사진의 연원과 내력을 근대기 일제의 식민주의의 영향에서 찾으려는 시도다. 일제가 정치기술서 활용한 천황의 ‘어진영’ 보급제도가 대한제국 황제의 ‘어진’ 보급과 일반인에게서의 초상사진 유행과 상례에서의 영정사진 사용에 영향을 미쳤으리라는 가설 아래 논의를 전개시켰다. 메이지시대 일본은 자국 내에서 천황의 ‘어진영’을 숭배하도록 국민을 훈육하였으며 이를 식민지에서도 시행하여 근대식민주의를 파급시키고자 획책했다. 이 과정에서 대한제국은 일본의 제도를 참고하여 ‘어진’을 제작, 보급함으로써 독립성을 얻으려 했고 일반인들은 황제 ‘어진’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