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요녕지역 회도의 수용과 토기제작의 기술혁신
원삼국시대 초기는 물레질과 타날성형, 그리고 환원소성이라는 신제도기술이 남한지역에 도입됨으로써 이지역 토기생산기술의 큰 변화가 시작된다. 일제강점기 이래 신기술의 계통을 요동과 서북한의 타날문 회도에서 구했지만 와질토기론이 제기되면서 그 기원을 낙랑토기에서 찾았다. 와질토기 논쟁을 거치며 다시 전국계토기 기원론이 부상하고 근래에는 남한의 원삼국시대 환원소성 토기를 이른바 세죽리-연화보유형의 타날문회도와 비교하는 연구가 제출되고 있다. 이 논문은 이주-전파에 초점을 맞춘 기원론의 한계를 지적하고 요녕지역을 대상으로 신제도기술의 확산과 수용을 기술혁신의 과정으로 설명하고자 했다. 연이 동북지역으로세력을 확장하기 직전부터 서한시기에 해당하는 건창 동대장자, 조양 원대자, 본계 상보촌, 그리고 서풍 서차구 등 네 고분군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