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CEPA 체결 사례로 본 남북한 CEPA의 타당성과 가능성 분석 - 중-대만, 중-홍콩의 사례를 중심으로 -
...상황에서 남북한도 기존의 불안한 남북한 경제, 협력을 극복하고 국내외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적극적이며 실질적인 경제교류의 필요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그래서 고려될 것이 바로 남북한 CEPA(Closer Economic Partnership Arrangement: 이하 경제긴밀화협정)이다. 그리고 그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남북한 CEPA는, 첫째, 현재의 불안한 남북한 경제교류를 국내외적으로 인정받음으로 안정되고 지속적인 경제협력을 이끌어 낼 수 있다. 둘째는 남북한 CEPA를 통하여 현재 지속적으로 발생되고 있는 분단비용을 상쇄하고 추후 발생될 통일비용과 통합비용의 중요한 밑거름이 될 수 있다. 셋째, 남북한 CEPA는 남북한이 앞으로 갈 남북한경제공동체와
남북한
정치
공동체의 중요한 교두보가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