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이주민 종교기관 교육프로그램의 민족지적 고찰
...북한이주민들의 수가 2만 5천여 명에 다다르고 있다. 이 글은 북한이주민 남한사회 정착과정에 민간단체 차원에서는 가장 적극적으로 관여하는 한국 교회 프로그램에 대한 민족지이다. 북한이주민 사역 현장을 남북한 사람들의 문화 접촉 지점(contact zone)으로 보고, 그 안에서미세하게 벌어지는 남한 교역자와 북한이주민 교육생간의 문화화 과정의 주요 단면들을 서술한다. 북한 사회 및 북한이주민의 특수한 삶의 내력 이해를 전제로 한 북한이주민 사역 현장에서는 실제로문화상대주의적 접근이 미약함을 문제로 지적한다. 남북한 주체간의 문화이질성 경험은 분단 체제하에서 남북한 국가 이데올로기로 양성한 민족동질성 신화 및 북한에 대한 남한 중심의 문화우열 의식을 반영한다. 이분법적 냉전 구도하에서는 북한이주민의 과거와 문화...
[학술논문] 통일시대(Post-unification Era) 화해의 예전(Liturgical Reconciliation)을 위한 남북한 예배의 신학적 접점 연구
..., 이중 설교, 공동 성찬 등의 실천적 구조를 제안하였다. 본 논문은 서울신학대학교, 감리교신학대학교, 숭실대학교, 총신대학교 등에서의 통일 예배 준비 현황을 소개하며, 교단 간 협약과 신학교 커리큘럼 개편 등의 제도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기독교대한성결교회의 북한교회 재건운동은 ‘분산형 재건예배’의 사례로 소개되며, 통일 후 예전 통합의 다양한 방식 가능성을 시사한다. 궁극적으로 예배는 단순한 의례가 아닌 공동체의 상처를 기억하고 미래를 선포하는 실천의 장이며, 이 논문은 남북한 교회가 화해와 정의, 하나님 나라의 공동 증언자가 되기 위한 예배학적 기여를 탐색하였다.
[학술논문] 소석 김창인 목사의 설교에서 본 북한선교와 통일 메시지 연구: 설교집 1권과 2권을 중심으로
1977년부터 북한선교회로 시작된 북한선교와 통일운동은 충현교회 김창인 목사를 통한 설교 사역에서도 중요하게 나타났다. 수많은 설교 중에서 이러한 북한선교와 통일에 대한 메시지를 찾아볼 수 있다. 그러므로 신⋅구약 설교에 서 메시지를 분석하므로 일관되게 강조하고 있는 그의 설교집에서 북한선교와 통일에 관한 주제를 연구함으로 본 논문에서는 그 내용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 한, 이 연구에서는 그의 설교 북한선교와 남북한 통일에 대한 메시지를 김창인 목사의 북한선교에서 구체적으로 연결하여 실행했는가를 소개한다. 마지막으로 북한선교에서 통일선교로 전환된 2019년 이후로의 충현교회의 한국교회에 대 한 역할을 제시한다.
[학술논문] 분단체제의 시각에서 본 DMZ의 문제와 평화 체제를 향한 ‘DMZ’ 가능성 모색
...지대’로 왜곡되어온 DMZ의 현실을 보여준다. 왜냐하면, 북한과 남한이 서로에 대한 적대적 관계를 인식하지 못하고 끊임없이 기득권 중심의 관계에서 분단 문제를 바라보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본 논문은 오늘날 실질적으로 DMZ의 문제를 바라보는 데에 있어서 백낙청의 분단체제론이 지닌 유의미성을 제시한다. 왜냐하면, 백낙청은 냉전체제가 아닌 남북한이 함께 속하고 있는 체제의 불완전성과 그 안에 속한 지배계층에 의해 주도되고 유지되는 남북의 적대적 관계와 그 사이에서 추구해야 하는 북한과 남한 변혁의 길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기 때문이다. 둘째, 본 논문은 백낙청의 분단체제론에 대한 손호철과 김용해 그리고 박영균의 비판적 인식을 살핀다. 한편으로, 본 논문은 백낙청의 분단체제론과의 비판적 논쟁을 통해서...
[학술논문] 북한교회 개척 시나리오와 전략에 관한 연구
... 보며, 이를 위한 한국교회의 지속적인 선교적 노력과 탈북민 교회의 핵심적인 역할, 그리고 남한 교회와의 실질적인 파트너십 구축을 강조한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한국교회가 북한 선교를 위한 구체적인 전략을 수립하고, 통일 이후 남북한 교회의 통합과 사회 통합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