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남북한 이문화 부부의 가족과정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활용하여
... 힘이 될 수 있을 것이며, 전문적인 상담과 교육 프로그램 및 사회적 변화를 위한 적극적인 옹호활동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이는
사회복지 실천 현장에서 사회적 소수자, 북한이주민, 그리고 그들의 가족에 대한 문화적 역량을 키우는 ‘문화적으로 민감한
사회복지 실천’과 가족복지 실천으로 구체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회복지 이론과 방법론, 그리고 실천에 대한 함의는 사회적 소수자, 이문화 부부,
남북한 사람들의 관계, 나아가
남북한
통합과정에서 나타날 문제에 대한
사회
복지실천 접근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The sociopolitical reality of the partition of the Korean peninsula over 50 years has s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