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960~1970년대의 제3세계론과 제3세계문학론
...외부화하지 않고 자기화함으로써 출현할 수 있었다. 이 글은 1960~1970년대 제3세계론의 전개를 살펴보고 대화적 관계 속에서 제3세계문학론의 위상을 고찰한다. 제3세계문학론의 장에는 사회과학적 기원을 지닌 “제3세계”라는 논제가 인문학으로 넘어오면서 대항지식으로 구축되어가는 양상이 또렷하게 기록되어 있다. 이 글은 신식민주의론,
네오내셔널리즘, 민족경제론, 민족문학론을 검토하면서 이들이 제3세계론 및 제3세계문학론과 맺는 관계를 규명하고 특히 백낙청의 제3세계문학론을 ‘책임’이라는 문제틀에서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그리고 ‘민족’, ‘민중’, ‘제3세계’라는 의미론적 단위를 통해 표명되고 추구된 대항지식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