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항일혁명문학(예술)’ 담론의 기원과 주체문예의 문화정치
...그러다가 1959 년을 기점으로 ‘혁명적 가요, 혁명적 정론, 혁명적 연극’으로 호명되면서 북한 문학예술의기원이자 적통으로 차츰 격상되었다. 이 과정에서 하방 위기에 놓인 문인, 예술가들은 ‘현지파견,
노동체험’에서 빨리 벗어나는 방편으로 생산 현장의
노동 찬양과 함께 항일 빨치산 찬가를 복권의 수단으로 삼기도 하였다. 결국 항일혁명문학예술은 1967년 주체사상의 유일사상 체계화 이후 김일성 집권세력의 승리에서 소급한 국가 만들기라는
신화화 과정의 작위적 산물로 평가된다. 한동안 북한의 공식 문학사는 항일혁명문학의 ‘전통’과 진보적 근대문학의 ‘유산’을 위계화한 후 후자, 특히 카프(KAPF)로 대표되는 프롤레타리아문학을 의도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