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사회주의 농촌테제의 등장 배경
북한정권은 농업협동화 직후 리 단위로
농업
협동조합을 통합하였다. 그 결과
농업
협동조합의 평균 규모는 300호, 경지 면적은 500정보로 늘어났다. 새
농업협동조합
기준규약(잠정)을 통해 정비된
농업
협동조합은 이전의 조합과는 다른 성격을 가진 조합이었다. 조합원 개인이 소유했던 토지와 생산수단이 모두 협동조합의 소유가 되었고, 조합원들은 생활과 소비를 모두 집단생활 속에서 함께 하게 되었다. 농민의 낙후한 생산력과 낡은 사상의식을 개조하기 위해 기술혁명과 문화혁명도 함께 추진되었다. 그러나 농업협동화가 완료된 1958년을 정점으로 농업생산력은 하락하거나 정체하였고, 농민들은 일탈행위를 일삼았다. 왜 토지개혁이나 농업협동화를 추진할 때에는 농민들의 혁명적 열기가 고조되는 데 반해 사회주의 건설을 본격적으로 추진하면서부터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