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가건설기 북한의 역사교육체계와 교육이념―고등교육을 중심으로―
...개설되었다. 또한 북한의 행정당국은 교과서를 새로 편찬했는데, 그 목적은 일제 잔재의 청산, 노동에 대한 인식과 과학적 세계관을 가진 인재의 양성, 소련의 문화를 도입해 새로운 민족문화를 창조할 수 있는 인재의 양성이었다. 이와 함께 북한의 교육자들은 1947년부터 소련의 사회주의 교육이론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였다. 이들은 학생들의 사상과 사회적 활동
능력이
교육을 통해 생성된다고 인식하였고, 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사상을 개조함으로써 국가 건설에 필요한 ‘근로자’를 만들려고 구상하였다. 이에 따라 역사교육에서도 직관적인 교육재료와 현대사실⋅해방 투쟁관이 설치된 박물관을 활용해서 학생들에게 역사발전의 필연성을 인식시키고 애국주의사상을 심어주려 하였다. 북한의 정치세력이 애국주의사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