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국영화 속 북한 표상의 흐름 연구: 한국전쟁을 다룬 할리우드 영화를 중심으로 (1945~1972)
...인식하기 시작한 한국전쟁 시기(1945~1953년) 미국의 전쟁영화가재현하는 북한 표상은 북한군이라는 구체적인 대상이 아니라 공산주의자, 빨갱이, 중공군, 소련인 등과 같이 전쟁의 맥락 속에서 적군의일부로 취급된다. 다음으로, 휴전 협정이 체결된 시기(1953~1960년) 의 미국 영화가 관심을 둔 것은 북한의 형상화가 아니라 전쟁이 미국에 무엇을 남겼는가 하는 문제를 제기하는 것이었다. 마지막으로, 냉전이 고조되는 1960년대 초부터 쿠바 미사일 사태, 베트남전쟁,
닉슨독트린 등 혼란한 국제정세의 변화가 있었던 1972년까지의 영화에서드러난 북한의 표상은 특히 냉전의 논리에 의한 적대국의 위계화라는맥락에서 재현된다. 그리고 이러한 양상들은 그 이면에 북한에 대한미국의 차별적 시선이 투영되어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