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북한 민족동질성 회복에 있어 檀君學의 의미와 그 역할 - 附. 檀君敎佈明書 와 三一哲學의 이해를 중심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므로 이제 國祖 檀君의 상징과
檀君學의 철학 속에서, 오늘 남 과 북의 이념적 이질성을 극복할 韓民族 同類의 정신적 토대를 찾고자 하는 것이다. 이럼에도 불구하고 오늘 젊은 세대에게는 檀君과
檀君學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제대 로 주어지지 못하고 있는데, 이는 사실상 대한민국 國學 敎育의 실패라 할 것이다. 그리고 현재 북쪽의 檀君 관련 연구 상황은 정확히 알기 어렵다. 하지만 韓民族이 동 일한 문화를 통해 장구한 세월을 존속해 왔음은 역사가 증명하는 바이다. 또한 문화 에는 심층적인 정신 요소가 자리한다. 따라서 한국인의 민족적 동질성과 생활문화 속 에 자리한 사상들을 남과 북의 檀君을 통해 확인하는 일은
檀君學은 물론 韓國固有 思想에 대한 이해도 가능케 할 것이다. 지금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