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00년 이후 북한 발해사 연구의 회고와 전망
본 연구는 2000년 이후 북한의
발해사 연구 동향을 문헌사 연구 중심으로 검토해 보기 위해 작성하였다.먼저 북한의
단대사 『
발해사』 시리즈를 검토해 보았다.
단대사 『
발해사』는 『조선통사』와 『조선전사』를 이은 세 번째 발해 관련 개설서라고 할 수 있다. 주요 특징으로는 우선 발해의 고구려 계승성을 기조로 하는 내용을 유지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모든 서술에 해당한다. 둘째로 이전에 비해 중무 정책과 중문 정책 시기로 나누는 등 나름의 세부적인 시기 구분을 시도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셋째로 『협계태씨족보』등 사료로서의 가치가 의심스러운 자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외국 학계의 성과에 대한 검토가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는 점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