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963년 로잔 남북체육 회담에 관한 역사적 연구
...모스크바 IOC 총회를 계기로 북한이 동경올림픽대회 단일팀 구성을 제안하면서 논의되기 시작하였다. 북한의 단일팀 구성 제의에 대하여 한국은 남북체육회담의 정치적 악용을 우려하여 회담 개최를 고의적으로 지연시켰다. 그러나 IOC로부터 강력한 압박을 받은 한국은 제17차 UN총회가 종료됨에 따라 IOC에게 로잔회담 개최를 제의함으로써 회담이 성사되었다. 로잔회담 개최 이전 한국은 IOC 위원들과의 사전 접촉을 통하여 회담에서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고자 노력하였다. 그리고 한국은 회담결렬로 인한 북한의 개별 참가, 더 나아가 북한의 올림픽 참가 봉쇄라는 정부의 방침에 따라 회담에 임하였다. 1963년 1월 24일 개최된 로잔 회담에서는 선수 및 임원 선발과 국가문제는 합의가 이루어졌으나, 국기문제는 태극기 채택을...
[학술논문] 망각된 냉전체제하의 <아리랑>-1963년, 남북단일팀 국가가 되기까지의 남북한 <아리랑> 정전화 과정
본고는 해방 이후 <아리랑>이 남북한 양쪽에서 체제나 이념의 차이를 뛰어넘는 민족의 노래로 담론적으로 구축되어, 1963년 1월 도쿄올림픽 단일팀 구성을 위한 로잔 남북체육회담에서 국가(國歌)로 결정되기까지의 과정을 고찰한 것이다. <아리랑>은 식민지기에 민족의 소리인 민요로 발견되어 정전화가 진행되었지만, 잡가로서 본래 가지고 있던 통속성은 음반 산업과 결합하여 더욱더 확산되었으며, 해방 이후에도 이러한 통속성에 가려져 있던 저항성은 부각되지 못했다. 그 속에서 <아리랑>이 다시 주목되기 시작한 것은 주로 주한미군에 의해서이다. 그들은 조선의 대표적인 민요 <아리랑>에 관심을 갖고 공식 행사에서 연주하는 한편, 54년에 반공 영화 『아리랑』을 한국과 공동 제작하면서...
[학술논문] 광복 80주년과 남북교류협력 80년 회고와 성과
...분단되어 ‘6.25. 전쟁’과 무력 충돌, 협력, 갈등 등을 통해 광복의 가치(하나의 한반도로 회복) 복구 노력과 두 국가로 분단을 고착화하려는 노력을 반복했다. 남과 북은 ‘광복 가치 회복(한반도 회복)’을 위해 주로 낮은 수준의 남북교류협력을 활용했다. 우리는 1987년 민주화와 남북 경제 발전 수준이 역전된 1980년대 후반부터 남북교류협력의 필요성을 북한에 제안하고 다양한 인도적 지원을 했다. 반면, 북한은 국제사회에서 정상국가로 활동하기 위해 1950년대에는 올림픽 출전권 획득을 위한 하나의 한반도를 강조하는 남북단일팀 구성 제안을 제안했으며, 1980년대에는 아웅산 사태 등 다양한 북한 도발 위기를 전환하기 위한 남북대화와 남북교류협력을 제안했다. 2000년대에는...
[학술논문] 적대와 비방의 역할극, 심리전으로서의 1984년 판문점 남북체육회담
본 연구는 1984년 판문점에서 열린 남북체육회담을 기존의 스포츠 교류 또는 정치 협상의 관점에서 벗어나, 남북한이 자국의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출한 일종의 ‘역할극’으로 분석한다. 회담은 1984년 미국 LA올림픽 단일팀 구성을 위한 명분으로 시작되었지만, 실제로는 체육이라는 본래 의제보다는 아웅산 테러 사건, 신상옥·최은희 납치 사건, 상호 정치체제 비방 등 정치적 쟁점에 지배되었다. 양측 대표단은 국가정보기관이 제공한 각본에 따라 연기를 하듯 체제 우월성을 선전했고, 회담장은 사실상 심리전의 무대가 되었다. 남한은 대내적으로 북한의 ‘악마성’을 부각시키고, 대외적으로는 정당성과 우위를 확보하려 했으며, 북한은 국제사회에서의 합법성을 인정받고...
[학술논문] 북한 주요 인프라 실태 예측에 의한 유지관리 수준 분석 및 평가
최근 한반도는 동계올림픽 단일팀 참가, 남북정상회담 이후 남북 경제협력 방안이 본격적으로 논의될 것으로 보이고, 도로, 철도 등 남북 주요인프라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그리고 대부분의 북한 시설물은 고령화, 노후화 및 유지관리 불량 등 시설물의 안전성과 기능성에 대한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북한 인프라 개선 및 개발에 대한 새로운 전략을 마련하기 위하여 성능관점의 북한 유지관리 수준을분석하고 남북 상호 인프라 유지관리 수준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결과, 북한의 도로, 철도 등 국가기반시설과 전력 및 통신, 상하수도 등 생활기반시설의 유지관리가 매우 취약한 것으로 조사되었고, 이에 대한 보수․보강 등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안전과 성능에대한 평가를 통해 남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