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유권자의 정치 양극화와 투표 선택: 2012년 및 2022년 대통령 선거 비교
...이질성’이 높아지는 ‘
당파
분열’ 현상으로 이해하는 방법이 있고, 다른 한편으로 유권자의 ‘진영내 동질성’이 높아지는 ‘
당파 정렬’ 현상으로 이해하는 방법이 있다고 지적한다. 이념적
당파
분열 혹은
당파 정렬에 기초한 유권자의 투표 선택은 민주주의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지만 감정적
당파
분열 혹은
당파 정렬에 기초한 유권자의 투표 선택은 민주주의의 퇴행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주장한다. 경험적 발견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유권자의 이념적 및 감정적
당파
분열은 지난 10년 동안 진전이 있었으나 그 수준이 유권자의 정당 지지 분포를 쌍봉 분포로 변화시킬 정도는 아니었다. 둘째, 한국 유권자의 이념적
당파 정렬은 지난 10년 동안 진전이 있었으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