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율곡철학 연구의 융합적 지평과 그 외연
...일관하고 있음을 밝혔으며, 이러한 시각도 율곡철학 연구의 외연확대에 필요함을 설명하였다. 둘째, 북한도 다카하시 도루(高橋亨. 1878~1967)가 『朝鮮儒學史』에서 조선성리학을 주리(主理)⸱주기(主氣)로 나눈 이분법적 시각을 따르고 있음을 밝혔다. 나아가 율곡의 리기론을 주리⸱주기의 이분법적 관점으로 보는 시각이 여러 모순이 있음을 살펴보았다. 셋째,
대동법(
大同法)을 중심으로 율곡의 경세관을 살펴보았다. 북한 학자들은 율곡의 경세관을 그의 애민사상을 중심으로 비교적 긍정적으로 평가하지만, 결국은 봉건주의적 관념론으로 이해하는 내용을 정리하였다. 넷째, Adam Smith(1723~1790)의 『도덕감정론(The Theory of Moral Sentiments, 1759)』에 나타난 경세관과 율곡의 경세관을 비교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