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문재인 정부의 외교안보정책 평가
...후제재완화(후체제보장)’이라는 미국과 국제사회의 공조전략에서 벗어나, 북한의 ’행동 대 행동‘의 동시적 해결에 동조하는 방향으로 선회하였다. 그 결과 북의 비핵화와 관련한 국제적 공조가 약화되었고, 오히려 북미관계의 변화에 더욱 의존적일 수밖에 없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북한이 기존의 핵물질과 핵무기를 폐기하지 않고 핵보유국으로서의 지위를 유지하겠다는 전략을 포기하지 않고 있어 북미간 북핵 문제 해결에 큰 진전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특히 북한이
대미
협상
력을 높이기 위해 중국과의 관계를 강화함으로써 향후 북핵 문제 해결은 북미관계 뿐만 아니라 미중관계에 영향을 받게 되었다. 문재인 정부로서는 미국뿐만 아니라, 중국, 일본, 러시아, EU 등 국제사회와의 공조를 강화하는 다각적인 외교노력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