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군 특수전사령부의 창설과 발전 - 1950∼1960년대를 중심으로 -
...유격전을 수행하는 제1특전단의 확대를 위해 공수훈련 대상을 확대하고자했다. 이는 정부의 국민 재건사업 중 하나인 국민 체력 강화 방침과 접점을 이루었기 때문에, 한국군은 대학생 공수낙하 훈련을 시행했다. 베트남 파병 시기 제1특전단은 주베트남 한국군의 일원으로서 파병교육을 담당했다. 또한 제1특전단은 베트남에서 다양한
대
유격
전을 경험했고, 미군 장거리 정찰대 교육을 받기도 했다. 셋째, 북한은 1965년부터 한국군의 베트남 파병과 한·일 협정을 방해하기 위해 많은 군사도발을 시도했다. 이 중 다수가 무장공비 침투였기 때문에, 한국군은 대간첩작전 전담부대가 필요했다. 때문에 육군은 수많은 연구 끝에 제1특전단을 모체로 특전사를 창설했다. 이후 특전사는 유격전과
대
유격
전을 동시에 수행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