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쟁의 정치적 변용 - 50~60년대 ‘항미원조’ 전쟁영화를 중심으로 -
...신중국의 냉전문화 구성 과정 및 그 균열지점을 짚어보았다. <상감령(上甘岭)>·<기습(奇袭)>·<영웅의 아들딸(英雄儿女)>은 항미원조 전쟁을 다룬 ‘17년 시기’의 대표적 작품으로서 제작년도(1956년, 1960년, 1964년)의 사회적 동향을 반영하여 각각 상이한 각도에서 대중정치를 작동시키는 방식을 보여준다. 동일한 전쟁이라 하더라도 그것을 기억하는 주체에 따라 전쟁의 양상은 판이하게 달라진다. 한국전쟁은 1차적 당사자인 남․북한 외에도 미국과 중국, UN 연합국이 참여한 국제전으로서 각국에서 한국전쟁 이미지는 판이하게 다르다. 한국전쟁은 그 누구의 승리랄 수 없이 휴전협정으로 막을 내렸지만 중국에서는 그간 항미원조 전쟁에서 ‘위대한...
[학술논문] 한국 정치극의 전개 양상 -1920년대부터 80년대까지의 정치극운동을 중심으로-
... 언론이 검열 때문에 제 역할을 하지 못하던 시대에 미디어로서의 역할도 수행했다. 5공 시대에는 민족, 민중 담론에 역사 담론이 결합되었고, 마당극은 실내마당극으로도 외연이 확장되었다. 또 정치적 메시지 전달에 치중한 언어 위주의 정치극을 탈피하여 표현방식의 미학적 탐구에 치중하는 변화를 보인다. 민주화 시대가 열린 87년부터 90년대 초반까지의 연극계는 정치극의 대 유행 시대였다. 금기였던 민감한 정치적 소재와 진보적 주장들이 거침없이 다루어졌으며, 양식과 미학 실험에 주력한 작품들이 주를 이루었다. 그러나 정치적 금기의 해방과 민주화로 인한 투쟁의지 상실, 정치소재의 상업주의적 이용, 마당극의 상투화 현상, 대중의 정치에 대한 무관심 등으로 인해 정치극은 운동으로서의 역동적 에너지를 상실하고 퇴조했다.
[학술논문] 한국전쟁기 북한 민주선전실의 교육과 동원 활동에 관한 연구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전쟁기 북한이 체제 붕괴를 방지하고 체제를 유지하기 위해 농촌 지역 민주선전실의 활동을 통해 선전선동을 어떻게 이용하였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북한은 이북 지역 재 수복 후 민주선전실을 중심으로 대중들의 정치사상 교육과 전쟁 지원을 위한 동원을 통해 김일성의 정치적 권위 회복과 체제 정당성을 형성 및 강화, 정치·경제적 기반을 재확립함으로써 체제의‘위기’를 극복할 수 있었다. 국군과 유엔군의 우세한 화력은 북한체제의 중요한 정치, 경제, 군사적 기반을 파괴하였지만 북한 인민들을 파괴한 것은 아니었다. 한국전쟁은 북한에게 선전선동의 전쟁이었으며, 민주선전실은 ‘군인들의 전쟁’을 ‘인민들의 전쟁’으로 전환시키는데...
[학술논문] 북한 민족담론의 긴장(緊張)과 ‘두 국가론’
...사상성(혁명 민족의 실체 발굴), 영속성(고려 민족의 영토성 발굴), 투쟁성(저항 민족의 역사 소환), 정통성(민족 문화의 우수성 건설)이라는 4개의 기둥으로 재건축됨에 따라 남북 간 민족의 이질성을 심화시킨 실체를 낳았다. 둘째, 북한 민족 담론의 오류는, 분명 하나의 민족에서 소환되었으나(사상이나 체제, 이념, 계급 위의 민족 설정), 점차 단계적으로 대중 정치화에 역이용됨으로써 내적 주체와 외적 적대를 구조화하고 그 경계에서 민족의 내부 갈등을 격화시켰다는 데 있다. 셋째, 현재 북한에서 진정한 민족개념은 문화적·정서적 테두리 내에서만 유지될 뿐(민족 유산과 민속), 한민족의 정체성은 국가주의(국가제일주의와 두 국가론)가 대체하고 있다. 다음으로, 남북관계에서의 몇 가지 문제들을 제시해 본다....
[학위논문] 중국공산당 개혁개방기의 리더십 혁신과 북한 : 최고지도자들의 비전, 노선, 정책 변화를 중심으로
.../>
한 국가의 정치 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은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하나는 한 국가의 국민 대중들이 정치 참여의 확대를 통한 새로운 개혁 프로 그램 및 관련 정책들의 도입과 실천이며, 다른 하나는 정치 제도를 이끌어가는 지도자의 리더십 혁신(Leadership Innovations)이다. 한국의 현대정치사를 보면 국민들의 정치 참여를 매우 중요시하고 정치의 발전은 주로 국민들의 정치 참여에 의한 정책 개발 및 혁신에 달려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제2차 혁명’이라고 불리는 중국공산당 개혁개방기의 정치 발전 과정을 보면 대중의 정치 참여보다는 중국 지도부를 구성하고 있는 정치 엘리트들의 리더십 혁신에 의한 노선 변경과 각종 정책의 도입과 실천에 의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