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대한 일본 학계의 인식과 역사교과서의 서술 분석
...등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둘째, 국내외 학계의
임시정부 연구 강화와 성과의 국제화, 대중화 및 홍보 강화가 필요하다. 셋째, 일본 학술서나 개설서, 교양서, 역사교과서 등에
임시정부 활약상을 반영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넷째 한국학계․교육계․시민단체 등의 연구와 교육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대한민국
임시
정부(한국광복군)의 실상과 업적, 성과, 한계 등에 대한 자유로우며 진솔한 연구, 담화, 스토리텔링(Story Telling), 다각적 콘텐츠화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
대한민국
임시
정부’를 인식하고 평가하며, 서술하는 시각과 자세에서 특정 정치이념이나 목적사관(目的史觀)에 좌우되는 이데올로기화를 경계해야 할 것이다. 특히
대한민국(남한)과 북한 중국 연변, 중국․일본학계, 구미(歐美)학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