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부지방 구석기공작의 지역성 고찰
...일부 유적에 집중된다. B1퇴적층에서는
대형
석기가 감소하고
소형
석기가 급증하지만, 북한강권역에서는 그 변화가 거의 없고, 영동하천권역과 안성천권역에서는
대형
석기의 감소가 불분명하다.
대형
석기 중 주먹도끼류는 안성천권역, 북한강권역, 영동하천권역의 지류하천에 위치하는 일부 유적에만 집중된다. 돌날
및 좀돌날 기법은 안성천권역과 영동하천권역을 제외한 모든 권역에서 순차적으로 나타난다. 돌날 기법의 경우 권역별 출현 시기의 차이가 큰 편이나 좀돌날 기법은 시기 차이가 적다. 또한 석영계
소형
석기는 영동하천권역과 안성천권역을 제외하고는 후반부에
소형화되고 있다. 최상층인 A퇴적층에서는 안성천권역을 제외하면 석영계
소형
석기의
소형화가 뚜렷하며, B1퇴적층에서 출현한 돌날
및 좀돌날 기법은 권역에 따라 유지되지만 한강본류권역에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