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전쟁이후 문예지(종합지)의 외국문학 수용과 이해
...위성국들의 반체제 소설, 미국의 반체제 소설 등은 서구 열강이 고수하는 이데올로기의 민낯을 확인할 수 있으며, 나아가 소련과 미국 소설을 통해 서구 냉전의 전개과정에서 남북한 분단과 이념 대립을 근원적인 안목으로 통찰할 수 있다. 셋째, 세계2차대전의 승리에 이어 냉전의 대립 속에서 아메리카 드림이 만들어지고 유포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아메리카
데모크라시에 대한 친화력이 문학을 비롯한 문화 전반에 걸쳐 친화력으로 구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문학작품이 영화화 되어 제3세계 문화권(한국)에 유포됨으로써 아메리카 드림은 대중에게 깊이 각인된다. 미국의 전후 작가들을 통해 전쟁이후 1990년대에 이르기까지 세계 문화를 선도하는 구심점으로서 미국문화의 다양한 면모, 흑인노예 해방을 비롯한 인권 문제, 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