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김정은 통치 리더십의 기원과 동학, 지속 가능성에 관한 연구 : 북한 '수령론'과 서구 리더십 이론의 교차적용 및 델파이 분석
...리더십의 양태나 변화를 들여다보기 위해 △후계자 시기 (후계 내정 및 추대~
김정일 사망) △권력 과도기 (집권~2016. 5. 노동당 7차 대회 직전) △권력 공고화기 (당 7차 대회~현재까지)로 시기를 구분해 통치 활동의 특성을 분석했고, 리더십의 다이내믹스를 보다 면밀하게 관찰하기 위해 별도로 하나의 장(章)에서 집중적으로 다뤘다. 후계자 기간 연구에 청소년기를 포함한 것은 김정은의 리더십을 형성하는 데 있어 10대 시절 수년 간의 스위스 유학이 많은 영향을 미쳤을 것이란 판단에서다. 연구 결과 김정은의 통치 리더십은 자신의 실력이나 풍모·역량보다는 이른바 ‘백두혈통’이라 불리는
김일성
일가의 혈연에 의해 구축되고 세습된 ‘정통성(legitimacy)’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