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신냉전형 한미일 관계의 구축과정과 트럼프 2.0 행정부
...하지만 주변사태에 대한 자위대의 역할을 명확히 하고, 지휘체제를 일체화하며 우주, 사이버, 해양, 핵억제 등 다층적인 통합억제로 발전하며 글로벌
동맹으로 전환되는 미일
동맹에 비해, 한미
동맹은 전략적 유연성 문제, 전시작전권 이양 문제, 핵억제 문제 등이 핵심이슈가 되며 한반도 범위를 넘어서지 못하고 있다. 바이든 정부의 한미일 협력은 한반도의 지정학적 특수성을 인정하며 한미
동맹의 글로벌
동맹으로의 전환을 유보한 채, 한미일 협력의 형태로 한국의 역할을 제고하는 형태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하지만 양자관계를 중시하는 트럼프 2.0 정부의 등장은 한미
동맹이 미국 국익에 얼마만큼 기여하는지에 대한 문제(
동맹
역할론)로 전환되며, 한미
동맹의 글로벌
동맹으로의 전환을 보다 직접적으로 압박하는 구도로 전환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