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에서 일본의 강제동원에 대한 연구 현황과 방향
한국에서의 강제동원사 연구 현황과 진척 방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여기에서는 이상의 언급을 요약하지 않고, 강제동원사 연구의 현재적 의미와 미래 가치에 대해 밝히는 것으로 맺음말에 대신하겠다. 그것이 강제동원사 연구가 가야갈 길이기 때문이다. 머리말에서도 밝혔듯이, 필자가 이 글을 쓰게 된 동기는 한중일 3국 사이의 역사갈등 때문이었다. 특히 2013년 12월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야스쿠니신사를 참배한 일에 대해 중국이 한국과의 국제공동연구를 적극 추진하자, 한국 정부가 여기에 대응하여 취한 여러 액션 가운데 하나로 기획된 학술회의가 계기였다. 2014년 7월 서울에서 열린 한중 정상회담에서는 일본군‘위안부’문제에 대한 대응을 외교의 영역에서 취급하였다. 역사문제가 외교문제화한 단적인 표시이다
[학술논문] 한국과 대만의 고등학교 동아시아사 교과서 비교 분석
본고는 한국의 『동아시아사』와 대만의 『역사2』 교과서의 구성방식과 서술내용을 비교 분석하여 각각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2장에서는 동아시아의 지역범주와 각 국가별 서술비중을 살펴볼 것이다. 3장에서는 교과서 목차를 통하여 『동아시아사』와 『역사2』의 내용구성 방식을 확인하고, 각 교과서에서 강조되는 내용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4장에서는 『동아시아사』와 『역사2』에서 공통적으로 강조된 주제와, 각각의 교과서에서 특히 강조된 주제에 대한 서술내용을 비교 분석하여, 서술내용상의 특징을 확인해 보고자 한다. 한국과 대만은 과거 일본제국주의의 식민 지배를 경험했고, 현재 북한과 중국이라는 사회주의국가와 무력 대치하고 있다는 점에서 서로에게 각별한 의미가 있다. 특히 분단이라는 특수 상황은 한국과 대만의...
[학술논문] [한국 근대Ⅰ] 성찰, 화해, 포용의 동아시아사를 위해
Korea marked the anniversary of major historical events developed after the opening of a port with the government-designated Korean history textbook issue in the year of 2014 and 2015. It would be confirmed that there are microhistorical studies tending to verify agony, indignity and life of people who experienced the Sino-Japanese War and the Russo-Japanese War.
Even in issues focusing th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