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문화 이주민의 디지털 격차 진단과 영향요인 연구 - 북한이탈주민·결혼이주민과 일반 국민간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이 연구는
디지털소외계층을 다문화 이주민으로 확장할 필요성을 자료분석을 통해 확인하기 위함이다. 한국에서는
디지털 격차 정책의 일환으로 4대 정보소외계층(장노년․ 장애인․ 저소득층․ 농어민) 위주의 지원정책이 있어 왔다. 그러나 한국사회의 다문화가 진행됨에 따라 정보격차 정책 역시 이주민에 대한 수용을 반영하는 프레임 확장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의 「2019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데이터를 통해 국내 다문화 인구를 구성하는 주요한 집단인 결혼이주민과 북한이탈주민과 일반국민간의 비교를 통해
디지털 격차 실태를 실증적으로 탐구하였다. 일원분산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일반국민 집단과 다문화 집단 사이에는
디지털 정보 접근․ 역량․ 활용 격차가 발생하고 있었으며, 특히 결혼이주민은PC 위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