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백석의 러시아 문학 번역에 관한 소고 - 남ㆍ북한의 평가를 중심으로
재북 시기의 백석은 방대한 번역 작품을 남겼다. 그 번역 작품 중 대부분이 러시아 문학과 소련 문학(Soviet Literature)의 작품들이다. 이러한 백석이 남긴 많은 번역 작품에 대한 연구는 재북 시기의 백석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본 연구는 백석의 번역 작품 특히 번역시의 연구를 위한 전망을 세워보고자 한다. 이에현재까지 백석의 번역에 대한 남한 학계의 평가를 점검하고 백석이 번역에 주력하던1950년대의 북한에서의 백석 번역에 대한 평가를 살펴보았다. 나아가 매우 제한된 자료이지만 1950년대 번역에 대한 북한의 인식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고찰을 통하여 백석의번역 활동은 러시아 문학 전문 번역가가 부족하였던 당시 북한의 사정으로 인한 어쩔 수없는 선택이었음을 추론하였다...
[학술논문] 백석의 번역 작품 「자랑」, 「숨박꼭질」 연구 - 북한 문학 속의 백석 Ⅳ -
이 논문은 백석이 번역한 러시아 소설 「자랑」, 「숨박꼭질」을 발굴, 소개하고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백석은 1930년대부터 분단 후까지 영문학과 러시아 문학 작품을 번역하였다. 시는 수 백 여편에 이르고 장편도 십 수편에 이른다. 번역가 백석의 면모를 살피는 것은 백석 문학을 조망하는데 필수적인 일이다. 「자랑」은 러시아 작가 알렉싼들 야ᄭᅩ볼렙의 소설을 번역한 것이며, 「숨박꼭질」은 러시아 작가 엘레나 베르만의 소설을 번역한 것으로, 두 소설은 이 논문에서 처음 공개되는 것이다. 「자랑」은 독소 전쟁기의 유전 개발을 다룬 단편으로 소련을 사회주의 모범으로 삼고 소련과의 친선을 문학적으로 형상화할 것을 주문 받은 시기에 번역되었다. 「숨박꼭질」은 2차 세계대전 중 유태인 수용소에서 일어난 일을 소재로...
[학술논문] 안중근연구의 현황과 쟁점
...주목된다. 그리고 제삼국의 안중근에 대한 인식 중 중국인의 경우는 한시준․김춘선․손염홍․서용 등의 연구가 주목된다. 러시아의 안중근인식에 대한 연구는 박 보리스․박 벨라․따찌야나 심비르체바 등이 이끌었다. 일본의 안중근인식은 이규태와 이규수의 연구가 주목된다. 아울러 안중근인식에 대한 연구는 정현기․장화방 등에서 보듯이 역사학을 넘어 문학으로 확대되었다. 정현기․윤경섭의 안중근에 대한 인식연구는 북한으로 확대되었다. 또한 신주백 등은 연구의 범위를 한일 양국의 교과서로 넓혔다. ‘안중근의거에 대한 국제 정치적 배경’은 박종효와 신운용의 연구로 어느 정도 드러났다. 러시아가 안중근을 그토록 신속하게 일제에 넘긴 이유에 대해 박종효는 정치적 부담이라는 이유를 들었고, 신운용은 서재근․김재동의...
[학술논문] 탈북 고려인 시 연구 ― 현실 대응 양상을 중심으로
...근본적인 자유에 대한 갈망과 그 장애물에 대한 저항의식이 전면화되고있다. 또한 그런 가운데 각자가 처한 상황과 현실에 대한 인식 및 대응 태도,세계관의 차이로 인해 다양한 작품 경향을 보여준다. 탈북 고려인 시인들의 작품은 숙련된 한국어로 창작되고 있으며 어느 정도 작품성을 담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한국의 독자들에게 쉽게 다가설 수 있다. 동시에 기존의 한국문학에서 바라보지 못했던 지점을 다루고 있으며 한민족의 디아스포라로서의 삶을 다양한 각도에서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또한 러시아 주류문학의 전통과 융합하여 나름의 문화적 혼혈을 만들어내고 있다는 점에서 오늘의 한국문학이 지향해가야 할 하나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기도 하다. 따라서 이들이 겪고 있는 고민의 지점과 현실 대응 양상에 더욱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학술논문] 북한문학 연구와 중국 번인본
...번인본과 소련문학에 대한 북한 ‘번역본’의 번인본으로 나누어 찾아보고자 했다. 그리하여 한글본의 번인본 본보기로서는 1950년대 북한의 친선문학이라는 새 담론 계발에 중심 원전이 될 종합시집 『전우의 노래』․『쓰딸린의 깃발』, 북한문학 교육의 수준과 속살을 엿볼 수 있는 석인해․김용은의 『문학 교수법』을 살폈다. 소련문학에 대한 북한 번역본 번인본의 본보기로 1950년대 북한의 초급․고급중학교 정전 작가로 다루어진 고리끼․마야꼽스끼․오쓰뜨롭쓰끼․숄로호브․알렉세이 똘쓰또이․파제예브의 것을 살폈다. 이어서 가장 방대한 러시아문학사인 『로씨야 문학사』를 소개해 600권을 넘는 1950년대 북한의 소련문학 번역본을 대상으로 삼은 번역사․‧영향사 연구를 제안했다. 중국 동포사회에서 나온 문학 번인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