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탈냉전시대 영화 <역도산>이 말하지 않은 것들: ‘세계인’의 균열과 트랜스/내셔널리즘
영화 역도산(2004)은 한국과 일본시장을 동시에 겨냥해 제작되었지만 상업적으로도 비평적으로도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영화는 한류의 붐 속에서 제작되었으며, 일본 등 아시아 국가에서 상영될 목적으로 뚜렷한 민족적 색채를 제거했다. 이 영화에서 역도산은 한국인도, 일본인도 아닌 세계인으로서 스스로를 호명했다. 물론 이는 일차적으로 국제적인 영화시장에서 마주하게 될 민족적인 거부감을 상쇄하기 위한 상업적 전략이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이것이 표층적인 차원의 이유이고 보다 심층적인 차원에서는 역도산이라는 인물에 각인된 냉전의 기억, 특히 북한을 다루는 것에 대한 부담감이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해석한다. 그것은 프레드릭 제임슨이 제기한것처럼, 다루어서는 안 되는 것에 대한 일종의 ‘이데올로기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