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재일동포 모국귀환 고찰: 해방 전후 모국귀환과 북송 귀환을 중심으로
이 연구의 목적은 1945년 해방 전후 재일동포의
모국
귀환과 북송 귀환에 대한 차이점과 의미를 고찰하는 데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해방 전후
모국
귀환은 1945년 해방 전후부터 1946년 3월까지 공식적으로 귀환한 재일동포가 약 90만 명, 자력으로 선박을 조달하여 밀입국이나 비공식적인 방법으로 귀국한 재일동포가 약 40만 명 등, 총 130만 명 정도가 귀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북송 귀환의 배출요인은 일본에서 귀찮은 존재의 추방이라는 기대심리, 일본 사회의 재일동포에 대한 차별과 소외, 일본 매스컴에 의한 한국의 정치 경제적 혼란 등이었다. 흡인요인은 1950년대 말 한국의 정치 경제적 혼란, 1960년경 4・19 학생운동으로 이승만 정권의 붕괴와 북한 주도의 남북통일 소문이 총련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