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녹족부인 서사의 ‘기아(棄兒)’ 모티프 연구
본고는 북한 녹족부인(鹿足婦人) 서사에 나타난 ‘기아(棄兒)’ 모티프를 고찰하여 북한 사회의 이념 체계 속에 수용된 녹족부인 서사의 존재 양 상과 의미를 확인하다. 북한의 녹족부인 서사는 기아의 원인과 과정, 그리고 결과에 있어 특징적인 존재 양상을 보여준다. 첫째, 북한 녹족부인 이야기는 ‘위한 어머니’로서의 신격(神格)을 갖추어야 할 녹족부인의 존재적 위상을 일상 속의 범속한 여인으로 격하시키고, 웅의 자기 실현 과정이라는 의미망에 놓여 있어야 할 아들들의 버려짐을 계급투쟁의 이념으로 논리화함으로써 녹족부인 서사의 본질인 신화적 원형성을 도외시하고 있다. 둘째, 녹족부인의 아들들이 ‘상자’에 담겨 버려지는 것은 웅으로의 재생을 위한 입사의례의...
[학술논문] 『꽃 파는 처녀』의 신파성과 대중성 그리고 상호텍스트성
...blinde Geronimo und sein Buder」(1900)과 강력한 상호텍스트성을 가지고 있다. 요컨대 가난한 고아형제(자매)・실명한 동생・음악연주와 구걸 등 주요 모티프에 있어서 상당부분 일치하고 유사하다. 슈니츨러와 「눈 먼 제로니모와 그의 형」은 비교적 이른 시기인 1924년부터 ≪개벽≫지에 소개되거나 1938년 유치진에 의해 번역되어 연극무대에 올려졌다. 또 1954년 10월 안수길에 의해 ≪학원≫에 번역, 소개된 이후, 지금까지 5차례 이상 재출간을 거듭하였다. 이로 미루어 볼 때 전자가 후자의 영향을 받았거나 모티프를 차용했을 개연성이 높다. 이와 같이 『꽃 파는 처녀』는 계몽과 선전이라는 혁명문학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해 독자와 관객의 눈물샘을 자극하는 신파적이고 대중적인 스토리에 외국문학을...
[학술논문] 월남 작가의 정체성, 그 존재태로서의 전유 - 황순원의 해방기 및 전시기 소설 일고찰
...않아 이러한 논의가 여의치 않은 부분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월남민으로서의 황순원을 부각시키는 일은, ‘순수문학’의 틀에 갇힌 작가의 작품 세계를 다채로운 관점에서 조망하게 한다는 점에서 유의미하다. 그러한 차원에서 논문의 1장에서는 월남 직후 황순원의 행보와 월남민에 대한 사회, 문학적 맥락을 함께 살펴보고, 2장에서는 소설에 나타난 ‘죄 없는 죄인’의 모티프를 통해 작가가 지닌 월남민으로서의 정체성을 고찰한다. 3장에서는 전시기 쓰인 소설들을, 당시 함께 발표 된 여타 전시 소설과 비교하여 작가가 당대 담론을 전유하는 방식을 알아본다. 4장에서는 작가의 작품에 나타난 세대에 대한 믿음이, 유랑민으로서의 작가가 선택한 새로운 무국적의 고향이었음을 논구해본다.
[학술논문] 재일조선인시의‘이야기 정체성’(narrative-identity) 연구 - ‘낙원 모티프’를 중심으로 -
...대해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 총련계 류인성과 고봉전의 시에 주목하였다. 류인성의 시에서는 공화국 측이야기를 반복할 때 유년의 장소가 강하게 환기된다. 그가 돌아가고자 하는 고향 강원도는, 공화국의 이야기나 수령의 항일혁명 등의 이야기 속에서만 ‘순수한’ 민족적 정체성을드러낸다. 가령 류인성 시에 나타난 “제비” 모티프와 “귀로”의 상상력은 어머니와 할머니가 있던 유년의 강원도로 회귀하려는 시인의 발걸음이 공화국의 낙원으로 돌아가는 발걸음과 다른 것이 아님을 보여준다. 고봉전 또한 공화국 이야기를 반복하면서 어린 시절의눈부신 제주 바다 속으로 들어간다. 그 순수의 자리에서 그가 본 것은 제주도의 푸른바다처럼 일어나는 공화국의 건설현장이었다. 그는...
[학술논문] 황순원 소설에 나타난 디아스포라의 지형도(地形圖)
...지형도(地形圖)를 거시적ㆍ입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작가론과 작품론의 통합적 시각에서 논의를 진행했다. 특히 월남작가라는 정체성에 새롭게 주목하면서 정치적ㆍ역사적 맥락 가운데 나타나고 있는 황순원 소설 언어의 굴절 양상을 재조명하고자 했다. 유년시절부터 서북지역 기독교의 영향을 받았던 황순원은 이스라엘 민족의 역사에서 유래한 디아스포라(diaspora)를 소설 창작의 모티프로 수용했다. 고향 상실의 원체험에서 비롯되고 있는 황순원 소설은 고향에 대한 향수와 귀환 욕망의 발현 등이 지속적으로 형상화되고 있는데, 이는 디아스포라의 서사적 여정을 반영하는 것이다. 황순원의 소설에서는 도일(渡日)과 월남(越南)을 통해 작가가 실제적으로 겪은 월경(越境) 체험으로부터 디아스포라의 공간적 지형을 파악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디아스포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