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관광]
...건국을 치열하게 고민하면서 현실로 실현하기 위한 노력의 현장들이 곳곳에 존재한다. 당시의 건물이 복원을 통해 남아 있기도 하고 소유주의 개발로 현대식 빌딩이 들어서기도 했지만 역사적 자취는 표석으로라도 남아 있으니 그나마 다행이다.
김구 주석과 대한민국임시정부 요인들이 귀국해 거처로 삼았던 경교장, 해방 정국에서 정당 활동과 교육 활동의 발원지로 활용된 서북학회회관 터, 몽양 여운형 선생이 주도한 조선건국준비위원회 본부 터 그리고 몽양의 집터를 한나절 코스로 거닐 수 있다. 해방 정국의 건국운동 현장을 답사하면서 그 역사적 의미를 되새겨 보고 당시의 건국운동이 성공했다면 현재의 우리 모습은 어떠할까를 그려 보자.
--- p.264
무엇보다 해방을...
[정치/군사]
... 이를 위해 혁명의 열기가 가장 뜨거웠던 조선으로 자원해 직접 현장을 체험하며 창작에 몰두했다. 그러나 정치적 요구와 창작의 본질적 추구 사이에서 그는 여전히 ‘인간 내면의 탐구자’로서의 문학적 사명을 놓지 못했다. (…) 이미 여러 차례 받은 비판을 통해 자신의 창작이 당대 문단과 충돌하고 있음을 의식하고 있었지만, 루링은 죽음과 직면한 찰나에 한 생명의 독자적 경험을 있는 그대로 기록하며 자신의 문학적 정체성을 고수했다. 80-81
[통일/남북관계]
...amp;vw=img&odr=news">저널 통일과 담론 2024년 상반기호
□ 특집기획
- 북한이탈주민 건강문제의 이해 (전정희)
-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인식과 개선 과제 (송현진)
- 북한이탈주민 자녀 정착 실태(정착지도와 자녀교육) (조명숙)
□ 일반논문
- 6.25 전쟁기 북한 문학사 정전비판과 재구성 모색 (김성수)
- 북한의 탄소하나화학공업 조성 현황과 향후 전망 평가 (강영실)
- 남북한 MZ세대의 통일의식 (김택빈)
□ 글로벌 인사이트
-...
[사회/문화]
...건국대학교 대학원 통일인문학과 13명이 함께 엮은 인문에세이다. 통일인문학은 식민-이산-분단이라는 한반도의 역사적 트라우마와 사회적 치유 방안을 연구하는 실천적 학문이다. 통일인문학과 대학원생들은 남과 북, 코리언 디아스포라의 가치·정서·문화 분단과 이를 극복하는 방안으로서 다양한 콘텐츠를 활용한 치유 방안 및 평화·통일 교육 등을 연구하고 있다.
대학원 통일인문학과장인 박영균 교수는 프롤로그에서 ‘이 책은 독자들에게 무언가를 알려주거나 가르치기 위해 쓰이지 않았다. 이 책이 담고 있는 이야기는 우리 시대의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해 애를 쓰지만 자꾸만 무너지고, 더 좋은 삶과 미래를 위해 노력을 하지만 여전히 엄습해 오는 불안을 떨쳐버리지...
[통일/남북관계]
...2017년까지 3년간 교내 주요 연구기관이 참여한 총 82개 연구사업을 실시했습니다. 연구에 참여한 기관은 언어, 역사, 정치, 경제, 공학, 의학, 법학, 농업, 교육, 수의학, 생활과학 등 다양한 분야를 망라하고 있는데, 다양한 분야의 연구 사업은 크게 남북한 관계, 북한 연구, 남북한 비교 및 통합, 국제관계 및 환경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었습니다.
『남북한 협력과 발전을 위한 기초연구』는 위에서 언급한 4가지 주제를 다시 2권의 분책으로 분류하여 구성하였는데, 1권은 -북한의 현실과 남북협력- 이라는 제목으로 언어, 지리, 문학 도시와 건축, 의약, 토지 개량, 광업 및 에너지 산업, 의료 보건, 수의학, 생활문화 분야에 해당하는 북한의 현실 및 남북협력의 가능성을 살펴 본 13편의...
[학술논문] 김남천의 창작방법론의 문학교육적 의미
Kim, Nam-cheon is a writer who examined creation and creation methodology in-depth. While his novels are mentioned in the literature history part of the Korean textbook in the 3rd year of Middle School curriculum, his works have almost not been contained in the literature textbook in the high school. This seems because he is a writer who went to North Korea and was a theorist and activist on the social
[학술논문] 북한 문화협정의 전개양상과 그 특징 ―광복 이후부터 1950년대를 중심으로
...폭넓은 경제 교류를 포함시켰다. 문화를 명분으로 실질적인 경제협력의 매개로 활용한 것이다. 이를 통해 관련 국가로부터 실질적이고 광범위한 원조를 제공 받을 수 있었다. 이 시기 북한의 재정의 상당 부분이 경제협력에 의존하는 상황이었다. 둘째, 북한은 문화협정의 지속적인 체결과 추진으로 문화교류의 제도적 기반을 마련할 수 있었다. 문화협정에 과학 및 교육, 문학예술, 군중문화, 전람회 조직 및 방조, 공동위원회 설치 등의 다양한 내용을 포함하였다. 인적, 물적 교류를 통해 폭넓은 협력체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북한은 문화협정을 통해 전통적인 친선국가와 동유럽 사회주의 국가, 제3세계 국가와의 형제적 친선의 유대를 강화할 수 있었다. 이처럼 북한은 광복 이후 1950년대 문화협정을 통해 전쟁으로...
[학술논문] 대학 교양 교육으로서 남북한 소설 읽기와 글쓰기 ─은희경의 「빈처」와 정현철의 「삶의 향기」를 중심으로
...넘었어도 가정사의 문제점은 남한이나 북한이나 비슷하다는 발견은 학습자로 하여금 현재 지니고 있는 분단 의식을 되돌아 보는 데 도움을 준다. 한편, 「삶의 향기」의 결말은 주인공이 자신의 이전 생각을 반성하면서 갈등의 해결이 암시되는 데 비해, 「빈처」의 결말은 갈등 해결 여부가 모호하게 처리되어 있다. 이러한 결말의 차이는 남한 소설과 북한 소설의 존재방식의 차이에 따른 것이다. 특히 「삶의 향기」의 분명한 결말은 북한 소설의 계몽․교육적 성격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삶의 향기」와 「빈처」의 비교․분석은 소설 텍스트를 문화론적인 시각, 예술론적인 시각에서 두루 살펴볼 수 있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동시에 글쓰기의 유형이자 설명 방법으로서 비교와 대조의 효용을 확인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학술논문] 북한의 고전문학 교육 내용 연구-교과서 수록 작품의 선정 배경과 맥락을 중심으로
... 베트남, 북한을 대상으로 고전문학 교육의 현황과 그 의미를 탐색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기획되었다. 특히 북한 고전문학의 경우 분단 이전에 생성, 향유의 일정 부분을 공유했다는 사실에서, 우리와 높은 친연성을 기대할 수 있다. 동시에 이같은 구조적 상동성에도 불구하고 교육적 인식과 태도에 따라 교육의 내용과 실천태에 큰 변화가 존재하는 만큼, 북한 고전문학의 특질을 탐색하고 인식의 차이를 밝히는 것도 요청된다. 따라서 교수요강, 교과서, 문학사 연구물, 사회주의 교육학 등의 자료를 통해 북한 고전문학 교육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피는 것을 이 연구의 과제로 한다. 북한의 경우 문학이 사상 교양의 수단과 도구 차원에서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이같은 문학의 강조와는 달리 고전문학은 북한 체제가 요구하는 사회주의...
[학술논문] 중국의 한국문학사 저술 현황과 한국현대문학사 서술 양상
...다음으로 이러한 중국의 한국문학사를 분석하기 위한 인식의 전제로 명칭 문제, 남북한 문학의 포함 문제, 관점에 관한 문제, 시대구분과 그 명칭 문제, 언어 선택의 문제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점들은 한·중 양국의 역사적 전개 과정으로 인해 촉발된 현실로서, 중국에서 집필된 한국문학사를 분석하기 위한 인식의 전제가 되는 사안들이다. 이러한 점이 전제되지 않고 국내적 시각으로만 중국의 한국문학사를 평가한다면 여러 가지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도 있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중국에서 저술된 주요 한국현대문학사를 살펴보았다. 중국의 한국문학사 가운데 한국현대문학사를 대상으로 다루고 있는 경우는 총 9종이며, 오늘날 중국의 교육현장에서 가장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한국문학사 연구 성과로 평가되는 김병민(1994)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