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중러 접경지역 철기시대 단결-크로우노프카 문화범위에 대한 검토
...문화의 고고정황에 따른 분포범위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더욱이 이 문화가 옥저로 비정되고 있는 상황에서 문화분포범위 파악은 필요한 논제이다. 토기로 파악할 수 있는 곳은 북부와 서부경계로 목단강 주변과 한카호 주변으로 단결-크로우노프카문화의 지역적 유형으로 판단된 동강 문화가 존재하는 곳이다. 하지만 유물을 실견하면서 전혀 다른 특징들이 확인되고, 이
문화의
범위에 속하지 않는다고 판단되었다. 따라서 단결-크로우노프카 문화의 서북 및 북부경계는 이 문화와 동강 문화를 비교 고찰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는 북한의 유적을 포함한 단결-크로우노프카 문화의 편년연구가 전제되어야 한다. 단결-크로우노프카 문화는 고배와 주상파수부 발형토기를 바탕으로 전체 Ⅲ기로 나눌 수 있는데, Ⅰ기는 기원전 5세기, Ⅱ기는 기원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