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950년대 북한 사회주의 건설과 민족문화유산 계승 문제
...김일성은 ‘주체’ 확립 방침을 제시하였고, 민족문화의 전통은 ‘주체’의 일부분을 구성하였다. 1956년 사회주의 건설 방침이 확립된 이후 민족문화유산 계승사업은 사회주의 건설 사업의 일부로서 진행되었다. 북한은 특히 실학사상 속에서 선진적·개혁적 면모를 발견하여, 사회주의 개조의 이념과 동력을 이끌어냈다. 민족문화유산은 사회경제적 자원으로서 북한 사회주의 건설에 직접 활용·적용되고 주민생활과 밀접하게 연결되었다. 전통을 계승하여 현 시대에 구현하고 인민에게 향유하도록 하는 것은 ‘주체’의 확립인 동시에 인민주권적 지향의 실천이었다. 북한 사회주의가 민족문화전통과의 깊은 관련 속에서 건설된 것은, 북한 체제 내 민족주의적 성격이...
[학술논문] 북한의 식생활 전통 인식과 보호정책
이 연구는 남북의 식생활 문화 전통 인식과 보호 정책을 비교하여 통일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충돌을 예측하고 통합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남북의 식생활 문화는 반만년의 역사 속에서 형성된 감출 수 없는 공통의 문화 자산으로 인식되었다. 북한에서도 민족문화의 전통을 보존하려는 노력은 이어졌다. 김정은 체제가 시작된 2012년 이후 비물질유산을 발굴하였는데, 비물질유산 중에서 식생활 문화가 다수 포함되어 있다. 북한이 국가비물질문화유산으로 지정한 음식문화는 크게 네 가지이다. 첫째, 전국적인 분포를 가진 일상음식이다. 둘째, 명절과 관련한 절기음식이다. 셋째, 전통주 유산이다. 넷째, 지역 음식이다. 북한은 식생활 문화를 발굴하기 위해 각종 요리경연대회를 개최하여 식생활 문화 진흥을 꾀하고 있다....
[학술논문] 해방직후 북한의 민주주의 민족문화 건설 방안
...방침의 수립과 내용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해방직후 좌파 문화인들은 전통을 숭상하는 국수주의적 문화관이 민주주의와 사회 변혁을 가로막고 역사 왜곡과 피시즘을 불러일으킬 위험이 있다고 비판하면서, 전통문화와의 일정한 단절을 주장하였다. 북한의 문화인들과 공산주의자들 역시 이와 유사한 문화관을 피력하였다. 그러나 북한에서 인민민주주의 정권이 수립되는 현실 속에서 북한에서는 보다 민족주의적 경향의 문화건설방안이 마련되었다. 북한의 민주주의 민족문화 건설 방침은 민주주의 사상을 문화적 방면에서도 실현하고, 민족문화전통을 계승하며, 외국의 선진 문화를 적극 도입한다는 세 가지 원칙을 가졌다. 북한은 문학예술사업과 조선사·조선어 편찬, 고적보존사업을 조직적으로 추진하여 민족문화 건설의 토대를 마련해 나갔다.
[학술논문] 1940~1960년대 북한의 역사학 연구와 민족문화전통 인식 변화
This article analyzes the perceptional changes of the National Cultural Tradition in North Korea’s historical research from 1945 to 1967 in relation to the political reality. The North Korea’s National Cultural Tradition was formed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its own historical studies and national cultural policy after the Liberation. In 1958, the perception of the National Cultur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