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태권도의 문화유산 내용과 특성 연구
이 논문의 목적은 북한에서 태권도가 대표적인 문화유산으로 되는 과정을 살펴본 다음, 북한태권도의 문화사회적 의미와 유산으로서의 가시성 등을 분석하여, 남북태권도의 유네스코 공동등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자는 이를 위해 북한의 주요 정책을 설명한 로동신문과 통일부가 제공한 북한동향에서 1991~2018년의 태권도와 문화유산 관련 글을 분석하였다. 이로부터 확인한 내용은 첫째, 북한에서 태권도 사업은 국가차원에서 중요하게 진행되어 온 것이다. 1980년대 태권도를 통한 민족의 대단결로부터, 1990년대 ‘조선민족제일주의’를 위한 ‘우리식 태권도’, 2000년대 ‘선군시대’를 상징하는 무도태권도, 2010년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