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통일시대를 대비한 고전문학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ome of the right future directions for classical literature in preparation for national reunification, as it's desperately required for both South Korea and North Korea to be ready for national reunification in this field. To find the homogeneity of the two Koreas in classical literature, it seems necessary to look at mutual reality from the perspective
[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한국사 교육의 연혁과 내용- 초기 적응 교육을 중심으로 -
... 2004년 한국사 교육이 시작된 이래로 최근에는 그 중요성이 강조되는 가운데 교육용 교재가 만들어졌다. 2004년 이래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한국사 교육용 강의안과 교재를 통해 볼 때 다음과 같은 특징이 나타난다. 1)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한국사 교육은 ‘민족적 동질감 회복’과 ‘남북한 차이의 이해와 극복’이라는, 남북의 공통점과 차이에 해당하는 두 축으로 구성된다. 2) 근대 이전은 민족적 동질감 회복이라는 맥락에서 대립과 갈등의 국면보다는 남북 모두가 쉽게 수긍할 수 있는 문화사와 대외항쟁사 위주로 편성되어 있다. 그러면서도 신라와 조선왕조를 중심으로 하는데, 이는 남한사회의 역사상을 제시하여 동질성 회복을 시도한다고 하겠다. 3) 근대 이전에 비해 남북한의...
[학술논문] 문화적 접촉과 탈냉전의 전망: 황석영의 방북기, 자서전, 소설 『손님』을 중심으로
...그가 강조한 내부적 관점은 북한에 대한 온전한 이해를 방해하는 역설을 보여준다. 『손님』과 『수인』은 방북기에서 내부의 관점이라는 고정된 방법론에 따라 억압되었던 작가 자신과 다양한 등장인물들의 내면이 대거 복원되고, 이를 통해 북한에 대한 복합적인 판단이 제시될 수 있게 된다. 다양한 인물들의 내면 서술이 지닌 남다른 특징은 이것이 북한에 대한 민족적 동질감을 환기시키지 않게 하고, 더 나아가 북한의 공식 역사와 다른 의미를 도출하는 데 있다. 더불어 남북 화해가 통일과 즉결되었던 방북기의 시각 역시 이후의 텍스트들에서는 드러나지 않는다. 방북기가 발표된 이후 자서전이 발표되기까지 대략 30년의 시간이 흐를 동안 그는 분단 극복을 위한 문학적 대응을 포기하지 않았으나, 방법론적 변화를 보여준다. 이 과정에서...
[학위논문] 북한이탈가정 초등학생의 한국사회 초기 사회화 과정 연구 : 정치사회화 관점을 중심으로
...지시를 자신의 의사보다 중시하였으며, 학급 선거에서는 선거권이 없는 참관자처럼 행동하였다. 개인 간의 약속 등 자신의 의사결정보다는 권위자의 지시에 책임을 더 느끼고 있었다.
둘째, 소속집단을 기준으로 동질감을 느끼며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였다. 북한이탈가정 초등학생들만 지도하는 특별학급 교사에 대해서는 초기부터 집단적 소속감을 느끼며 동질감을 형성하였으나, 한국 학생들을 함께 지도하는 통합학급 담임교사와는 이질감의 폭을 좁히기 어려웠다. 특별학급 북한이탈가정 초등학생들끼리는 동질감을 느끼며 관계를 맺었지만, 통합학급에서 함께 공부하는 한국 초등학생들에게는 이질감을 느끼며 배타적인 태도를 취하였다. 4주 이후에 조금씩 달라지긴 하였으나 12주 후에도 의미 있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
[학술논문] 남북한 행복공동체 실현을 위한 통일교육의 의미론적 접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현재의 이념체제와 경제의 강조는 통일교육을 형식적이면서 동질감을 강화시키기보다는 오히려 이질감을심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는 측면도 있으므로학교의 통일교육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 둘째, 통일교육은 수평적 성향을 띠는‘통일이 왜 필요한가?’라는 접근방식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통일교육은 왜 하여야 하는가? 에 대한 물음에서부터 출발한 접근방식은 체제우월성을 통한 수직적 관계를 강조하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기 때문이다. 셋째, 국가의 위상을 높이기 위해서는 통일교육을 통한 민족적우월감과 자부심을 고취시킬 수 있는 교육이 지속되어 통일로 이어져야 한다. 넷째, 민족적 동질감 강화와 협력을 통한 경제성장과 기술개발로 성장의 기틀을 마련하기 위해서 접근방식의 변화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