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949~1962년 중국조선족의 북한 이주와 민족정체성
중국으로 이주하던 조선인이 반대 방향 즉 한반도로 역류하게 된 변곡점은 일제의 패망이었다. 조선인의 한반도 귀환 고조는 광복 후 약 2년 간이었는데, 그간 재중 조선인 총수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70여만 명의 조선인이 귀환했다. 한국전쟁 발발 전부터 1960년대 초까지 조선족의 귀환은 여러 차례에 걸쳐 이루어졌다. 전쟁 발발 전야에 수만 명이 귀국하였고 전쟁 기간에는 또 지원의 명목으로 수만 명의 인구이동이 있었다. 휴전 후 북한 정부가 경제재건에서 부닥친 가장 큰 문제는 노동력 부족이었다. 중국 정부는 북한의 경제재건을 돕기 위하여 조선족의 북한 이주를 조직했다. 중국 정부가 이주를 조직하자 한반도 민족 정체성을 가지고 있던 6만여 명의 조선족이 북한으로 이주하였고 북한 국적에 가입했다. 중국 조선족의 대규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