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동기시대 북한지역 방추차의 파급 양상
방추차는 실을 만드는데 필요한 도구로 청동기시대 생활상과 관련된 중요한 자료로 인식된다. 이러한 인식과는 달리 방추차는 다른 유물에 비해 연구 사례가 적어 기초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유물의 기초 연구는 양식과 기능에 관한 것으로, 본 연구는 양식적인 측면에서 방추차를 살펴보고자 한다. 양식적인 관점에서 살펴본 청동기시대 방추차의 기초적인 문제는 북한지역 방추차가 남한지역으로 파급되는 모습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에 본고는 북한지역 방추차 형식의 시·공간적인 변이를 파악하고 이를 기준으로 남한지역 청동기시대 조·전기 방추차 형식의 연대와 분포를 파악하여 방추차의 파급 시점과 파급 지역을 알아보았다. 분석결과 북한지역 방추차 형식의 권역은 압록강 하류·청천강·대동강유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