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의 예술가 명예칭호 제도에 관한 연구 -음악·무용분야를 중심으로
This study aims to broaden an understanding about performing arts and the status of artists in North Korea, by analyzing the honorary titles for artists in the field of music and dance. It tries analyzing the present status of North Korean artists based on the yearbooks of literature and arts, that were published in North Korea from 1998 to 2018. The im portant artistic activities of North Korean artists
[학술논문] 북한에서 서양무용의 배제와 포섭에 대한 고찰 - 2000년대 이후 발레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2000년대 이후 포착되기 시작한 북한의 서양무용에 대한 포섭의 양상에 대한 고찰이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북한에서 출판된 정기간행물 『예술교육』을 중심으로 광범위한 문헌연구를 실시하였다. 북한에서는 김정은 체제를 기점으로 하여 서구의 발레, 현대무용 그리고 민족무용에 대한 기사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가장 두드러지는 것은 그동안 북한에서 배제되어왔던 발레에 대한 북한정부의 관심이다. 북한에서는 남북분단이후부터 1990년 발레에 대한 태도가 변화하기까지 발레의 일부 요소들만을 차용하여 조선무용창작에 활용하기는 하였으나, 전체적인 정책기조는 서구무용인 발레를 배제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2000년대에 이르러, 북한에서 38년 만에 발레공연이 개최되고 대학에 발레전문과정이 개설되는 등,
[학술논문] 북한정치에서 김여정의 위상과 역할
본 연구는 김정은 체제의 권력 공고화와 체제 운영의 측면에서 나타나는 김여정의 위상 및 역할과 그 속에 내포되어 있는 김정은과 북한 지도부의 의도를 파악해보려 한다. 김여정은 김정은 체제에서 공식적 직책과 혈통적 위상을 기반으로 높은 위상과 영향력을 가지고 있으며, 그의 정치적 역할은 크게 선전선동 분야, 정무적 분야, 대외정책분야에서 다양하게 나타난다. 구체적으로는 체제 공고화의 조력자 역할, 북한체제 운영의 역할분담, 정책결정자의 대리인 역할, 대외전략에서 배드캅(Bad Cop) 역할을 하고 있다고 하겠다. 김여정의 위상과 역할의 강화는 대내외적으로 김정은의 권력 공고화와 북한 체제의 안정화를 추구하려는 의도와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김여정은 김정은이 추구하는 체제 위기의 관리와 효율적인 당 운영에서 핵심적인
[학술논문] 21세기, 북한무용의 지형고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overview of North Korean dance in the 21st century, which has not been well known. This study reviewed extensive literature centering on the North Korean magazines such as < Joseon Yesul(Joseon Arts) >, < Yesul Gyoyug(Art Education) >, and < Joseon Munye Yeongam(Joseon Arts Yearbook) >. Some video data were also used complementarily 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