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쟁양상 변화에 따른 한국군 정신전력 혁신방향
최근 한반도는 김정은 정권의 핵과 미사일 개발에 따른 도발로 과거 경험하지 못한 위기 상화에 직면해 있다. 북한의 위협에 대응하여 우리는 한미동맹을 중심으로 군사적 조치를 포함한 다양한 대비를 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역량과 대비가 북한의 유형전력 위협에 집중하고 있다. 그러나 전쟁의 대비와 승리는 유형전력과 무형전력이 효율적으로 통합되어야 가능하다. 특히 제4세대전쟁 양상과 북한의 위협, 우리 내부의 사정을 고려할 때 무형전력의 핵심 요소인 우리 군의 정신전력 강화는 매우 중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군은 1998년 국방정신교육원이 해체된 이후 정신전력 정책 발전이 사살상 중단되었다. 전쟁 양상의 변화와 문화의 발전을 따라가지 못하고 1997년의 개념을 아직도 사용하고 있다. 이에 비해 북한은 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