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의 ‘자립적 중공업화’ 선택과 발전 토대 준비(1945~1956)
...‘주체공업’ 등 개념의 사용 시기와 배경 및 역사적 의미 등을 논증했다. 이를 통해 북한 공업화는 소련이 경험했던 한 개 나라 단위의 ‘자립적’이며‘현대적’ 공업 창설이었지만, 1950년대 들어서며 사회주의블록 형성과함께 소련의 ‘사회주의공업화’ 이해가 ‘현대 공업’만으로 한정된 이후, ‘주체적 공업화’라는 새 개념어를 만들었다고 봤다. 이 과정에
박창옥 등인민소비품 생산을 강조한 세력은 없었다. 1945~1956년 북한 공업화의기본 내용은 기계제작공업을 핵심으로 자립적 중공업 건설을 우선하며, 소비품 생산의 경공업 건설로 다면적으로 발전한 생산구조 확립, 자체원료기지 축성, 과학기술인력 내부양성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