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960~1970년대의 제3세계론과 제3세계문학론
1960년대~1970년대, 기존의 동서관계에 변화가 일어나고 남북문제가 새롭게 대두하면서 국제 냉전질서는 새로운 전환기를 맞는다. 한국의 외교 능력과 국제적 존재감을 ‘반성적’으로 되돌아보는 움직임이 형성되었는데, 그 핵심에 바로 “제3세계”가 있다. “제3세계”는 국가의 실리가 달린 장이자 남북한 대결이 벌어지는 장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띠게 된다. 그러나 1960~1970년대 한국에서 “제3세계”라는 실체 혹은 이념이 국가주의적 관점에서만 소모된 것은 아니었다. 이 시기가 지성사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면, 그것은 “제3세계”를 둘러싼 인식론적 지평에서 주목할 만한 흐름이 형성되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