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반역의 상상력 - 이청준의 『씌어지지 않은 자서전』의 저항성 연구
...사건들과 필화사건들이 연발함으로써
반공
동원이 폭증한 시기이다. 간첩죄, 반공법 위반과 같은 소위 ‘반역’에 해당하는 죄목들이 법적 요건을 갖추지 못한 채 원칙 없이 적용되었다. 이러한 반역죄의 내포와 외연의 임의성은 어떤 사회적 발화도 처벌의 위험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게 했다. 그에 따라 지배 권력에 의해 반역죄의 잠재적 피의자가 돼버린 지식인(국민)은 반역 혐의의 강박을 내면화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의 프리즘을 투과해서 이 소설을 보면, ‘나’가 신문관에게 반역죄로 불시에 체포되어 취조를 받는 환상은 환상의 외피를 두른 현실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남북한이 체제유지를 위해 상대의 존재를 필요로 했던 적대적 공존의 아이러니가
반공
동원의 한 본질이며, 지식인-간첩사건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