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Early Cold War Internationalism of the North Korean Democratic Women’s Organization
...등장했으며, 여맹의 좌파 여성주의적 국제주의 실천은 북한의 주권 인정에 기여했다. 여맹은 초기 몇 년간 여성 해방에 관한 소련 이론을 적극적으로 채택하여 사회주의 국가 건설에 반영하였다. 1940년대 후반에는 자신들의 성취에 자부심을 느끼며, 북한 여성들은 “엮인 해방”이라는 개념과 경험이 여전히 식민지 상태에 있는 여성들에게
반
제국
주의적, 범아시아적 해방 모델로 기능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마지막으로, 전시 중 좌파 여성주의 조직들과의 연대 실천은 북한의 주권에 대한 국제적인 인정을 얻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 연구는 이 세 가지 역사적 전환을 통해 북한 여성들이 탈식민지 국가를 상상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초기 냉전 시기 북한의 역동적인 국제주의에서 핵심적인 행위자였음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