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지역 신석기시대 집자리 유적의 발굴보고와 연구성과
...면에서 많은 변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신석기시대 집자리 유적에 국한된 것이 아닌 북한 고고학 연구의 전반에 걸쳐 일어난 현상으로 판단된다. 북한에서의 신석기시대 집자리 유적에 대한 발굴보고문은 1970년대 중반 이후, 신석기시대 집자리 유적의 발굴조사가 급격히 감소함과 동시에 이전 시기의 「유적
발굴
보고」, 「고고민속론문집」, 「고고학자료집」 등이 사라지면서 1986년 창간한 「조선고고연구」 에
발굴
보고가 이루어지면서 급격히 쇠퇴해 가는 양상을 보인다. 우리나라 신석기시대 연구는 초기에 북한지역에서 이루어진 궁산, 지탑리, 금탄리, 서포항 유적등의 발굴조사 및 연구성과를 토대로 그 뼈대를 잡았다고 해도 무방하다. 그러나 1970년대 중반이후부터는 북한지역 신석기시대 유적의 발굴보고문에 대한 불확실성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