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韓國政治勢力과 南北關係發展에 關한 硏究
...실질적 민주주의를 추구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탈냉전 세계화의 역사적 변동과 함께 자본의 논리에 의한 신 자유주의가 등장하면서 실질적인 민주주의의 갈 길은 멀어 보인다. 이에 비해 한국의 민족주의는 처음부터 냉전 이데올로기의 영향을 받아 자유민주주의와 같이 좌절을 당하였다. 이른바 반공주의라는 논리에 따라서 민족통일을 시도하여 왔다. 반공주의는 한국
보수
정치
세력에게 권위주의체제를 강화하여 분단체제를 유지하는 최고의 가치가 되었다. 민주화와 탈냉전 세계화로 인해 민주주의와 민족주의를 포함한 반공주의는 더 이상 시대의 흐름과 일치하지 않게 되었다. 자유민주주의가 지배적인 이데올로기로서 다시 부상하면서 민족주의는 종속적 이데올로기로서 더욱 약화되었다. 통일의 당위성과 북한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둘러싸고 한국 정치세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