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광수의 『무정』에 대한 북한문학의 문학사적 인식의 변화 양상 고찰
...부정성을함께 고찰하는 양면적 평가가 진행된다. 북한에서도 1980년대 중반 이래로공정한 평가의 대상으로 이광수와 『무정』에 대한 문학적 공과를 함께 기록하고 있는 것이다. 북한문학사에서 1950년대 이래로 1970년대까지는 『조선문학통사』(1959) 중심의 ‘
부르조아 반동문학가’로만 호명되던 이광수가 1980년대 중반에 『조선문학개관』(1986)에 이르면 ‘신문학’이 지닌 ‘
부르조아
계몽문학’의 특질을소설에 반영한 작가이자 『무정』의 작가로 호명된다. 이어서 1990년대 『주체문학론』(1992)에 이르면 『개척자』의 작가로서 더욱 주목을 받게 되며, 가장 최근의 평가인 『조선문학사7』(2000)에 이르면 “착취 사회의 사회악에대한 폭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