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지역의 발해유적 발굴조사 현황과 과제
...살펴보았다. 우선 관방유적은 청해토성, 성령산성, 성상리토성 등이 발굴되었고, 건축유적으로는 금산1, 2건축지, 회문리ㆍ동흥리 24개돌 유적 등이 있다. 고분유적은 발굴된 유적의 수가 제일 많은데 함경북도 지역의 금성리고분군, 창덕고분군, 궁심고분군, 부거리일대 고분군, 창촌리고분 등과 함경남도의 평리고분군, 오매리고분군,
부상리고분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중 창촌리고분과
부상리고분
군은 비교적최근에 발굴되었다. 사찰유적은 오매리사지가, 생활유적으로는 오매리 자기가마터가 대표적이다. 발굴현황을 살펴봤을 때, 북한지역 발해유적은 알려진 곳에 비해 실제 발굴된 유적은 매우 적으며, 발굴조사역시 고분유적을 중심으로 진행되는 양상이다. 또 지금까지 알려진 발해유적 중 그 성격의 재검토가 필요한 유적을 확인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