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례조사를 통한 통일후 북한의 지적재조사 방안
본 연구에서는 통일한국의 지적재조사 방안모색을 위해 유사 국가사례로 이미 통일된 국가인 독일, 체제전환국가인 러시아, 지적재조사사업이 완료된 프랑스를 사례조사로 비교하였다. 또한 최근 북한의 연구동향과 2014년 10월의 남북물류포럼 세미나 참석 등을 통해 수집한 자료 등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따라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먼저 지적재조사사업의 추진과정에 있어 다목적 지적제도로 나아가고 있는 남한의 실정과 기준에 준하는 방향으로 접근하여야 한다. 그리고 기존에 존재하는 법률과 동일한 체계의 「북한지역 지적재조사 특별법」 제정, ‘북한토지조사국’ 또는 ‘북한토지조사청’ 의 추진기구 설립, 북한인력에 의한 지적재조사 및 제도정착, 입체지적에 걸맞는 일필지 조사범위의 다양화...
[학술논문] 베트남 학계의 남ㆍ북한 연구 동향 및 쟁점: 베트남 전쟁 시기(1954~1975년)를 중심으로
Following the end of the World War II, both Vietnam and Korean peninsula ware divided. Since the 1950s, South Korea (the Republic of Korea) and SouthVietnam (the Republic of Vietnam), North Korea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and North Vietnam (the Democratic Republic of Vietnam) started to establish official diplomatic relations. The Park Chung-Hee government from 1964 sent South
[학술논문] 분단 70년 북한연구 경향에 관한 고찰
이 연구의 목적은 분단 70년 동안의 북한연구를 주요 시기별 연구동향과 쟁점을 중심으로 개괄해 보고 북한연구의 향후 과제를 제시하는 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분단 이후 70년 동안의 북한연구를 역사적 전환의 시기와 새로운 방법론의 도입을 기준으로 4세대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한다. 남북분단에 따른 ‘시대의 아들’로 태어난 북한학이 세대를 거듭하면서 이데올로기적 존재 구속성을 벗어나 객관적 학문으로 거듭날 수 있는 기반을 갖춰 나가고 있다. 북한자료의 개방 확대, 북한이탈주민의 증가, 북한연구에서의 다양한 방법론의 도입 등은 북한연구를 질적·양적으로 발전할 수 있게 하는 토양을 만들어 주었다. 최근의 북한연구는 어떤 특정한 연구방법이나 흐름으로 정리하기 쉽지 않을 정도로 다원화되었다
[학술논문] 건축적 관점에서 본 발해유적에 대한북한의 연구동향
본 연구는 건축적 관점에서 발해유적에 대한 북한의 연구동향을 관련 학술지논문, 단행본, 발굴조사보고서 및 묶음집을 대상으로 살펴보았고, 이들 논문을 주제별로 분류하여 그 결과를 평가해 보았다. 이를 통해 어떠한 주제에 어떠한 점이 부족한지, 연구가 진행되지 못한 분야가 어디인지를 살펴봄으로써 앞으로 연구되어야 할 방향을 제시해 보았다. 지금까지 2,000년 이후 북한에서 발표된 발해유적 관련 글을 주제별로 분류해 보면, ㉠발해유적 총론, ㉡발해 성곽․도성․궁전유적, ㉢발해 살림집유적, ㉣발해 24개돌유적, ㉤발해 유물, ㉥발해 교통로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연구주제 가운데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주제가 ㉡발해 성곽․도성․궁전유적 관련 논문이었다. 발굴결과를 기초로 하고 있으며, 발굴내용이 주로 상경성, 서고성...
[학술논문] 북한연구와 질적 방법론의 활용
본 논문은 탈북자 면접조사를 중심으로 북한연구를 위한 질적 방법론의 활용과 발전방향을 탐색한다. 탈냉전에 접어 들면서 북한연구의 동향은 이념에서 실증으로, 거시에서 미시를 탐색하는 것으로 전환해 왔고 1990년대 중반 북한의 경제난으로 인해 탈북자들에 대한 접근이 용이해짐에 따라 탈북자 면접조사를 중심으로 한 질적 연구가 북한연구와 결합되었다. 그러나 많은 연구 성과를 배출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사료조사의 문제와 함께 탈북자 면접을 중심으로 한 북한연구의 질적 방법론은 밖으로는 일반화의 한계와 안으로는 성찰적 재현의 딜레마로부터 신뢰성의 문제가 제기되어 왔다. 따라서 본 논문은 질적 연구로서의 북한의 사료조사 방법을 재평가하고 탈북자 면접조사에서의 일반화와 성찰성의 문제를 중심으로 북한연구에서의 질적 방법론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