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경찰, 탈북민 대상으로 대공 혐의점 찾아 실적 내려는 경쟁 공공연”
... “아이고, 우리 아비(아버지) 올해 결국 세상 떴다… 이렇게라도 소식 전한다.”
“오라비 건강하니까 걱정 마라. 돈 또 보내주면 고맙지… 니 몸 잘 챙기라.”
위 대화는 실제 북한이탈주민(이하 탈북민)들이 브로커를 통해 입수한 재북(在北) 가족의 소식을 담은 스마트폰 녹화 영상을 기자가 얻어 일부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탈북민들의 경우 일가족이 함께 탈북하는 경우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많다. 이렇다 보니 대한민국에 정착한 탈북민들이 재북 가족 혹은 북한에 있는 친구를 위해 대북(對北)송금을 시도하는 행위는 꽤 흔한 일이다.
[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250409111851004?section=nk/news/all
태국에 불법 체류하며 탈북 브로커를 사칭해 "북한에 남은 가족들을 탈북시켜 주겠다"고 북한이탈주민(탈북민)들을 속여 돈만 가로챈 40대가 국제 공조수사로 경찰에 붙잡혔다.
경기 평택경찰서는 사기 혐의로 40대 남성 A씨를 태국 현지에서 체포해 국내로 송환한 뒤 9일 검찰에 구속 송치했다.
[뉴스] [초·고 / 알면 알수록 궁금한 북한 이야기] 아이 울음 들킬까 수면제 먹이고, 언 강물에 손발톱 빠져도 탈출한다
탈북 중에 북한군에 걸리면 바로 총살당해
북에 있는 가족들도 노동형, 사형 등 처벌
북한 벗어나도 중국서 이어지는 도피 생활
우리나라에 찾아온 탈북민, 총3만4000명
[뉴스] 북한 가족에게 돈 보내면 범죄?…탈북민 “이게 말이 되냐”
[주간경향] “북한이 도발해 온다면 우리는 이를 몇 배로 응징할 것입니다.
[뉴스] [단독] 목숨 걸고 탈북했는데 끝은 ‘무연고 사망’…고독사 늘어나는 탈북민
부모나 가족 없이 홀로 국경을 넘었지만 한국에서 제대로 정착하지 못해 쓸쓸한 죽음을 맞이하는 북한이탈주민(탈북민)이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경제적으로 어려움까지 겪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통계에 잡히지 않은 무연고 사망자도 많은 만큼, 탈북민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7일 통일부에 따르면 남북하나재단에서 시신 안치 등을 지원한 탈북민 무연고 사망자는 지난해 기준 14명으로 2019년(7명) 대비 2배 증가했다. 특히 2022년에는 무연고 사망자가 19명 발생하면서 정점을 찍었다. 이렇게 전국 추모관 등에 안치된 탈북민은 5년간 50명에 달한다. 이들은 훗날 통일이 되거나 나중에 가족들이 찾으러 올 때까지 봉안 시설 등에 임시...
[법/인권]
만약에 사랑이 없다면 어떨까 말했다
서울에 온 북한 배경 청소년들이
서울대학교 학생들을 만나
직접 쓴 가족, 우정, 신념, 사랑 이야기
어디서도 들을 수 없는 목소리가 여기에 있다. 우리가 잊었던, 외면했던, 우리들 안의 또 다른 목소리, 북소리. …… 하나의 세상에서, 하나의 마음으로 귀를 열고, 우리 안의 북소리를 맞이하자.
- 정수윤(작가·《파도의 아이들》 저자)
[사회/문화]
...변화 등과 같이 상부구조나 거시구조의 변화에 주로 분석의 초점이 맞추어져 있던 다수의 북한연구물들과는 달리, ‘일상생활(daily life)’의 연구 영역을 주된 관찰 현장으로 삼아 미흡한 북한이주민들의 일상생활이 어떠한지 자세히 보여주고자 합니다. 총서 시리즈물의 여덟 번째 편인 ‘자기, 돌봄과 회복’ 편은 가족학이라는 학문적 토대를 북한이라는 영역으로 확장하여, 북한이주민들의 자기돌봄에 주목했습니다. 1부에서는 자기(self)의 개념을 필두로 자기돌봄의 개념과 기능에 관해 학자들의 의견을 짚어보았고, 2부에서는 탈북여성들의 사례를 들어, 그들이 경험한 자기, 돌봄과 회복의 과정을 증언 방식으로 정리했습니다. 마지막으로 3부에서는 전문가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탈북민들이...
[사회/문화]
...style="text-align:start">▶북한이탈주민, 그들에게 남한은 정말 따뜻한 곳일까?
그들을 향한 구별과 배제 그리고 차별에 관하여
부산소설문학상, 부산작가상, 봉생문화상, 요산김정한문학상, 동인문학상 등을 수상한 정영선 작가의 장편소설 『생각하는 사람들』 개정판이 출간되었다. 작가 정영선은 북한이탈주민정착지원사무소 하나원 내 청소년 학교에서 파견교사로 근무한 2년의 시간 동안 탈북 청소년들의 삶을 지켜보았고, 남한사회에서 북한출신자들이 겪는 문제들에 주목했다. 그는 탈북민들이 단순 정착을 넘어 사회・경제적인...
[정치/군사]
...두고 살펴보고 있기 때문만도 아니다. 그만큼 심여를 기울여 쓰는 글이기도 하지만, 중요한 점은 그가 경계인의 관점으로 글을 쓰기 때문이다. 그는 목숨을 걸고 대한민국으로 와 이곳에서 살아가고 있으며, 동시에 북에서 태어나 여전히 사랑하는 가족과 친구들이 거기에서 살아가고 있다. 그래서 이곳과 저곳을 똑같이 애정할 수밖에 없고 똑같이 비판할 수밖에 없다.
“저는 대한민국과 적대관계인 북한도 사랑합니다. 북한은 저의 고향일 뿐만 아니라 가족과 형제, 친구들이 여전히 살아 있습니다. (…) 그래서 그 사랑하는 마음에 비례해 전대미문의 연좌제와 독재로 인민을 노예화하고, 그들의 행복과 번영을 막고 있는 북한 김정은 독재 정권에 분노를 표할 수밖에 없습니다.”
[통일/남북관계]
...연구성과들을 충실히 반영하되 이산의 고통을 고스란히 간직한 가족 당사자들의 구술(자료)를 바탕으로 크게 네 장으로 나누어 현실을 분석·진단하고 치유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제1장에서는 한반도의 전쟁과 분단이 지속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여러 유형의 이산가족을 설명하고 이산가족 문제의 복합적 측면을 살핀다. 한반도에서 이산가족은 월남인과 월북인, 국군포로, 비전향장기수, 미귀환공작원, 납북인, 납남인, 북송재일교포, 조선족과 고려인, 미주한인 등 디아스포라 한인, 그리고 최근의 북한이탈주민에 이르기까지 실로 복잡하고 다양하다.
제2장은 분단으로 ‘찢긴’ 가족의 모습을 그린다. 가족 이야기를 소리 내어 말하지 못하는 월북인, 북한에서 귀환하여...
[학술논문] 분단과 남·북한 친족법의 변화
This paper examines how the family law has been settled and developed since the emancipation from Japanese colonial era throughout the time where South and North Korea maintain as divided. The study flows from introduction of the topic in Part I to actions taken by South and North Korea against division of Korea peninsula in Part II. Then it further investigates main issues and changes in background
[학술논문] 청소년의 인터넷 사용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융복합적 함의를 중심으로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자료는 질병관리본부가 실시한 2014년 제10차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 조사를 활용하였다. 연구분석결과, 인구사회학적 관련 요인에서는 남학생인 경우에, 가계의 수준이 낮은 경우에, 중학생인 경우에, 학업성적이 낮을수록, 가구유형 관련 요인에서는 소년소녀 가구, 한부모 가구, 조손가구, 다문화 가족, 북한이탈주민 가족의 경우에, 사회적지지 관련 요인에서는 가족지지, 친구지지, 선생님지지가 없는 경우에, 건강 관련 요인에서는 운동시간이 적을수록, 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주관적 행복감이 낮을수록 청소년의 인터넷 사용시간은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결론에서 청소년의 적절한 인터넷 사용을 위한 효과적인 개입전략을 모색할 때 고려해야 할 융복합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의 사회통합을 위한 정착 지원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 통합적 문헌고찰 방법을 활용하여
... 나누어졌다. 사회통합을 위한 영역은 ‘차별없이 고용가능성을 높이기’, ‘정서적 결속감과 참여’, ‘심리적 안정감과 정체성’을 증진시키는 방향으로 나타났다. 또한 북한이탈주민 통합을 저해하는 장애요인으로 ‘한민족 신화’, ‘복지 의존’ 그리고 ‘우월적 태도’가 강조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북한이탈주민의 사회통합을 촉진하는 사회복지 접근을 폭넓게 반영하는 다각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학술논문] 중국 내 북한이탈주민 정착가정 자녀의 생활 실태 연구
...중반이후 급증한 북한이탈주민은 점차 중국인과 가정을 이루고 정착함에 따라 그들의 2세를 출산하게 되었다. 하지만 중국의 북한이탈주민 강제송환 정책은 가족의 해체를 가져왔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북한이탈 여성의 자녀는 방위되거나 보호받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이 연구는 중국 동북3성에 거주하는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심층인터뷰를 통해 법적, 사회적, 정서적 문제에 대한 실태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중국내 북한이탈주민 자녀는 어머니의 불법적 신분으로 인해 중국국적 취득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그로 인해 교육과 보건 등 사회보장에서 배제되고 있었다. 또한 어머니의 강제북송과 가출 등을 경험한 아동들은 어머니를 빼앗겼다는 충격으로 인한 정서적 혼란을 겪고 있었다. 하지만 중국 내 북한이탈주민 문제가 갖는 특수성으로...
[학술논문] 한국에 대한 북한이탈주민의 국가이미지 형성에 미치는 영향 요인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 거주하는 북한이탈주민이 한국을 대상으로 가지는 국가이미지 형성에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는 것이다.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를 거쳐서 성, 연령, 교육수준, 가구월소득, 결혼여부, 가족수를 포함하는 인구학적 요소와 향후 가족경제와 국가경제에 대한 주관적 경제전망 변수, 그리고 사회적 관계 변수로서 지난 6개월간 지인들에게 받은 도움 정도가 북한이탈주민의 국가이미지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서울, 경기 등에 거주하는 북한이탈주민을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연령이 높을수록, 남한에서의 교육경험이 적을수록, 기혼이 미혼에 비해, 가족수가 적을수록, 향후 한국의 국가경제가 좋아질 것이라고 전망할수록...